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빈생성안됨
- JPA주의사항
- 스프링 부트 공식 문서
- 최종 프로젝트
- @IdClass
- github
-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 json gson 차이
- 1차캐시
- REST API 규칙
- Filter
- uncheck Exception
- 스프링부트오류
- jpa회원가입
- ERD 작성
- json
- REST란
- Unsatisfied dependency
- JPA
- Spring Spring boot 차이
- Q 클래스
- git
- jwt메서드
- 복합키
- spring서버
- jpa에러
- 스프링 부트 기능
- JoinColumn
- 인텔리제이
- queryDSL
- Today
- Total
목록매일 (9)
Everyday Dev System
XSS (Cross-Site Scripting) XSS이란? 부적절한 의도를 갖고 공격하려는 사이트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다. 사용자의 쿠키를 탈취하여 세션 하이재킹 공격이 가능합니다. (사용자를 대신하여 악의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세션 하이재킹? - 공격자가 인증 작업이 완료되어 정상 통신을 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세션을 가로채어 별도의 인증 작업 없이 해당 세션을 통해 통신을 계속하는 행위 Stored XSS Reflected XSS

출처(Origin)란? 출처(Origin)는 다음과 같은 3가지를 합친 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토콜 : http과 https는 다른 프로토콜 입니다. 도메인 : naver.com과 google.com 은 다릅니다. 포트 번호 : 8080과 22 포트는 다릅니다. ex) https://www.google.com:8080 Cross-Origin이란? 프로토콜, 도메인, 포트 번호 중 한가지라도 상이한 경우를 말합니다. 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다른 출처에서도 리소스를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CORS 정책입니다. 이와 반대로 같은 출처에서만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규칙을 가진 정책은 SOP(Same-Origin Policy) 입니다. 보통 브라우저에서는 ..
이력서를 쓰면서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가고 글로 적는게 색다르고 재밌었다. '나'라는 사람에 대해 집중하고 내면을 깊숙히 들여다보며 나의 본질을 한번에 알기란 어렵다. 그래서 주변 지인들께 물어보았다. 지인들이 바라본 나 한가지에 깊게 파는 성향인 것 같다. 단점으로는 멀티가 잘 안되는 듯. 감정적으로 힘든 것을 주변인에게 호소하지 않고 혼자 감당하는 편이다. 주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어떤 일이든 스스로 해내려고 노력한다. 맡은 일을 책임감있게 임해서 신뢰가 간다. 지식을 습득하는데에 있어서 관심이 많다. 가끔 좀 행동이나 생각이 엉뚱하다. 한번 아니라고 생각하면 아니다 라는 생각이 뚜렷하다. 반복적인 일상을 즐기지 않는 편이다. 명예보다는 능력있는 사람으로 인정받고 싶어한다. 하고 싶은 일에 대해서는..
자의식은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연선택을 통해 진화 했음이 분명하다. 농경 사회에서 부터 시작된, 어쩌면 까마득히 먼 이전부터 시작되었을지도 모르겠다. 현재 나의 모습에 안주하며 변화를 두려워 하고, 더이상 발전하려 하지 않는 안정적인 환경만을 추구하는 것은 생존을 위한 본능적인 태도이다. 이러한 본능적인 부분을 깨야 한다. 이것이 자의식 해체 이다. 그럼, 자의식 해체란 무엇인가? '역행자' 라는 책에서 자의식을 해체해야 한다는 문장을 읽고 처음에 이해하지 못했다. 말 그대로 내 자신을 객관화하고 이를 인정하고 받아드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고집이 있고, 욱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 스스로 인지하고, 말을 아끼고, 5초만 더 생각해보자. 내 의견을 말할 때 틀릴 수도 있다는 말을 꼭 덧붙이..
REST API에 대한 강의를 꼭 보면 좋다고 하셔서 쭉 훑어봤다. 훑어보면서 이해한 부분을 아래 글에 정리했다. 2023.06.21 - [백엔드 개발자 필수 요소] - REST API REST API 백엔드 개발자가 가장 많이 다루는 것은 REST API 이다. 그러므로, REST API에 대해서 심도있게 학습할 필요가 있다. 기본기를 탄탄하게 갖춘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필수 요소이 cdev.tistory.com 47분짜리의 길지도 짧지도 않은 강의였지만, Roy Fielding이 REST를 만들게 된 배경과 어떤것이 REST인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한 문장으로 정리하자면, 서버와 브라우저의 독립적 진화를 위해 만들어낸 것이 REST이다. 또한, REST라고 부를 수 있으려면 여러..
불편을 해소하거나 쾌감을 제공하거나 인간은 목표를 설정했을 때 와 목표를 달성했을 때 이렇게 2회, 도파민이 분비된다. 아무리 노력해도 지금 하는 일이 즐겁지 않다면 다른 즐거움을 찾는것 오전에는 아침 기상 골든 타임을 활용하고 점심은 잠깐 산책을 하고와서 밥을 먹고 오전 한일 오후 할일을 적는다. 1. 장기, 단기 목표 설정 2. 할일 리스트에 오늘 할일 적기 3. 할일 리스트이 각 항목에 제한시간, 종료시간 명시 4. 일을 종료할 때마다 그어 지운다. 5. 적당히 난이도가 있는 과제를 설정한다. 1. 공부할 목표 설정 2. 해당 목표 달성을 상상 3. 해당 목표의 반복적 확인 4. 이를 즐기며 실행 5. 목표를 달성 후 상을 줌 6.즉시 더 높은 목표 설정 위 과정 반복 속독하며 책을 훑어봤다. 그냥..
so cute 20230615

코딩 집중 시간인 2-6시가 끝나자마자 인텔리제이 창을 닫았다. 배는 딱히 고프지 않고, 책을 읽고 싶어서 밀리의 서재를 살펴봤다. 밀리의 서재에 첫 회원가입을 하면 한 달 무료 혜택을 받을 수 있길래 당분간 한달동안 시간을 내서 강제로 책을 읽을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스터디언이라는 동기부여 유튜브 채널에서 소개해준 "유연함의 힘" 이란 책은 없었다.. 그렇지만, 읽고 싶었던 조지 베일런트의 행복의 조건과 인플레이션은 있었다. 당장 이 두 권을 내 서재에 등록했다. 지금은 인플레이션을 읽고 있다. 속독이 안되는 나는 저번에 속독하는 방법을 찾아보면서 알아봐둔 몇가지 방법 중 속발음 없애기를 실천해봐야겠다.. 추천해준 방법은 소리내서 1,2,3 숫자를 반복하면 속발음이 줄어든다고 한다. 또한, 주변시를 ..
사전 준비 STEP 7개 설명하심. 사전캠프때 - 웹개발 전반에 대한 이해를 위해 웹개발 종합반을 학습합니다. 백엔드 트랙은 DB활용을 위한 SQL 개강 직후 하게 될 미니프로젝트를 위한 기본기를 다지는 시간입니다. 5/2- 5/12 매일 16강씩 숙제 포함되며 개발일지는 미포함. 공부한 범위 진도 체크해야함. 저녁 식사 6-7시 카메라, 마이크 필수 (의사소통이 필요하므로) 공지보고 나면 이모지로 확인했다는 의사 표시 매일 12시간씩 공부해야함. 개발일지 작성하기. 1. 배운것들 정리하고 복습 2. 감정과 고민도 . 배운 내용 및 소감 적기. 주에 1번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