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Spring Spring boot 차이
- 1차캐시
- json
- Unsatisfied dependency
- Filter
- ERD 작성
- 복합키
- JPA
-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 jpa에러
- json gson 차이
- 최종 프로젝트
- Q 클래스
- git
- spring서버
- queryDSL
- REST란
- JoinColumn
- 스프링 부트 기능
- JPA주의사항
- REST API 규칙
- 빈생성안됨
- 인텔리제이
- @IdClass
- jwt메서드
- jpa회원가입
- 스프링부트오류
- uncheck Exception
- github
- 스프링 부트 공식 문서
Archives
- Today
- Total
Everyday Dev System
팀 소개 페이지 - 회고록 : 6조 개새기 본문
1. 한 주의 흐름
1) 한 일
- 시연 영상 : https://youtu.be/mK0RekyzNeg
- 프로젝트 명 : 각 팀원의 아일랜드 소개 페이지
- 필수 작업 : 방명록 CRUD, 메인 및 상세 페이지 UI/UX
- 추가 작업 : 수정 및 삭제 기능 구현 시 비밀번호 확인, 미니게임 등
-
더보기파일링크: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CdjsxFsrad3d7i6NCg_8YfQ52O6TIwm8?usp=share_link
2) 느낀점
- 의성 - 깃허브를 사용해서 협업했을 때 마주하는 충돌에 직접 경험을 하고… 혼자였음 할수 없었던거라 더욱 더 뜻깊은 경험이였습니다. 그리고 다들 소통을 너무 잘 해주셔서 막힘없이 즐겁게 프로젝트 해서 좋은 경험만 가지고 가고 첫 시작이 매우 산뜻해서 좋고 앞으로도 모든지 잘 할수 있는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 채영 - 서버 코드 부분에서 문제 해결할 때 가장 큰 흥미를 느꼈습니다. 또한 좋은 팀원 분들을 만나서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해가며 진행할 수 있음에 감사함을 느꼈습니다. 팀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들을 뽑자면 각 개인의 기술적인 역량, 상대를 향한 배려 그리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 수연 - 맡은 부분의 구현을 완성했을 때 제일 뿌듯했습니다. 부족한 실력이고 지식도 많이 모자라서 팀원분들께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 끝까지 맡은 부분을 완성해 낼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역할을 나누고 잘 수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팀원들과 소통을 잘 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음 팀 프로젝트를 할 때는 이번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아쉬웠던 점을 기억하고 더 발전된 실력으로 참여하고 싶습니다.
- 상인 - 개인의 스킬 뿐 아니라 협업하는 과정과 협업 스킬 또한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즐거운 분위기에서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정신적으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많은 역할을 하지 못한것이 아쉽고 제 몫까지 힘내주신 팀원님들께 감사합니다. 발표회에 참여한 다른 조의 발표를 보고, 튜터님께서 다른 조에
주시는 피드백 또한 앞으로 개발 공부를 진행하고 프로젝트를 할 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직접 작성한 내용이 많이 없었지만, 그렇기에 다음 프로젝트에 대한 욕심이 생기는 한 주였습니다. - 혜연 - 전공/비전공을 떠나서 한 분야에 새로 발을 들인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깊이 체감한 한 주였던 것 같습니다. 하나를 이해할까 싶으면 두 개를 이해해야 하는 순간이 오고, 두 개를 간신히 따라 잡으면 4개가, 8개가 놓여 있어서 소히 말하는 멘붕의 시간이었던 것도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솔직한 말로 팀원 분들이 나누신 대화의 반도 이해 못하고 주먹구구로 할 일 해나간 것 같아 그 점이 아쉽고, 내가 더 많이 잘 배우고 쌓아야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것도 많이 깨달은 듯 합니다. 너무 좋은 팀원 분들이 당겨주시고 끌어주셔서 한 몫도 못하는데, 한 자리에 함께 할 수 있었던 게 아닐까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프로젝트 중간에 빠져야 했거나 컨디션 조절 등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도 지켜야할 룰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다음까지 더 욕심 부릴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 Keep
- 팀원들의 적극적인 태도
- 팀원들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 기획 및 설계 부분에 적극적인 의견 제시
- 불만 불평 없이 항시 좋은 모습을 보여준 태도
- 모르는 부분을 망설임없이 질문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나서서 도와주고자 하는 태도
- 현재 상태에서 조금이라도 더 개선하고자 시도하는 부분, 완성도를 향상시킴
- 각 개인의 자리 비움 혹은 개인적 상황을 미리 고지해주는 부분
- 포기하지 않고 해당 문제상황이 있었을 때 집념있게 해결하는 부분
3. Problem
1) 문제
- git hub 연동 부분, git hub에 대한 경험 및 지식이 부족하여 브랜치를 나누고 병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계획을 명확히 수립하지 않아 발표 전 날 몰아서 처리한 부분
- 시간적인 이유로 추가적인 기능을 구현하지 못한 부분
2) 원인
- 경험 및 지식 부족
- 미흡한 계획 수립 일정
4. Try
- git hub에 대한 심도 깊은 학습
- 많은 협업을 통해 git hub에 대한 경험 쌓기
- git hub README 작성 미흡한 부분 (기술적 내용) 추가하기
- 추가할 내용 : 사용 언어, 사용한 버전, 패키지 및 라이브러리, API 명세, 문제 해결 방법 등.
- 각자가 잘하는 부분을 명확히 알고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파트 분배를 효율적으로 하기
- 본인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을 팀원과 더 많이 상의하기
- 프로젝트 진행 시 기능을 구현할 때 해당 기능과 연결되는 부분을 구현하는 사람과 충분한 의사소통 나누기
'내배캠 주요 학습 > 매일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봉현 튜터님의 특강 : 좋은 개발자가 되는 법 (2) | 2023.05.22 |
---|---|
1주차 미니 프로젝트 총 정리 (1) | 2023.05.19 |
팀소개 페이지 프로젝트 결과 (0) | 2023.05.19 |
팀소개 페이지 작업 과정 - ggLand : (0) | 2023.05.16 |
Windows에서 소스트리-깃허브 연동하기 (0) | 2023.05.15 |